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 심리발달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
    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4. 14. 22:15
    반응형

    행동주의 학습이론 개요 

     유아 발달에서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더욱 강조하며, 개인의 인생에서 얻게 되는 '학습경험'이 인간발달에서 변화의 근원이 된다고 한다. 모든 행동은 경험의 산물이며 객관적 관찰이 가능하고 측정할 수 있는 외면적 행동만을 중요시한다. 행동주의에서 비롯된 이론을 학습이론이라고 하는데, 학습이론가들은 조건형성이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기본 기제라고 보았기 때문에 학습이론의 기본 원리는 자극과 반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유아 심리 발달과 학습에있어서 발달은 경험에 의한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변화이며 전생애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한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획득하게 된 경험이 인간발달변화의 근원이며 환경을 재구성함으써 인간은 새로운 학습을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발달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는다. 인간관은 로크의 백지설에 기초를 두었으며 인간을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반응적이고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개인의 모든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이며, 이러한 연합은 외적 조건과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연합이론'이라고 불린다. 또한 성숙주의나 구성주의의 유기체적인 관점과 달리 행동주의자들은 기계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발달을 바라보는데, 발달은 학습의 누적에 의한 양적이고 점진적인 변화과정이라고 한다.

     

    파플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파플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일정한 자극에 의해 선천적으로 유발되는 반사를 처음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던 중립자극과 연계시킴으로써 이 중립자극이 선천적인 반사반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즉 자극의 연합과 반복을 통한 습관화 과정이다. 두 자극 사이의 관련성을 배워 유기체가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비할 수 있다고 하였다.  행동주의 이론은 환경 자극에 대한 반응패턴으로 행동이 학습된다고 보며 환경의 자극과 이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이때, 자극이란 신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사건이며 자극의 속성은 자극의 강도와 지속시간이 된다. 반응은 근육 또는 분비선에 의해 야기되는 특정한 행동으로 행동유형은 반사적 행동과 작동행동으로 분류된다. 

     

    고전적조건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원래의 자극과 비슷한 유사조건 자극에 대해 조건 반응을 하는 것을 자극의 일반화라고 한다. 예를 들어 종소리와 함께 간식을 먹었던 강아지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린다. 반대로 자극의 변별화는 한 자극이 다른 것과 변별되어지는 방식이다. 강화는 한 행동에 뒤따르는 자극사건이 그 행동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건형성이 한번 이루어졌다고 해서 조건 자극이 계속해서 영원한 자극은 아니다. 종소리를 타액분비를 위한 조건자극으로 만들 수는 있으나, 만약 음식 없이 종소리마을 몇 번 울리면 종소리는 그 효과를 잃게 된다. 이 때 추가 훈련없이 소거되었던 반응이 얼마 후 같은 조건이나 상황과 만났을 때 다시 나타는 현상을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소거를 일으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부적응적인 자극의 조건화가 일어나는 것을 없애는 법을 역조건화라고 한다 물과 좋아하는 어떤 것을 연합하여 짝지어 학습시킴으로써 물에 대한 좋은 느낌을 학습하는 것이다. 강화, 소멸 외에 자발적 회복도 일어난다. 조건 반응이 소거된 후 아무런 자극이 주어지지 않다가 조건 자극만 다시 제시되어도 소거되었던 조건 반응이 재생되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의 학습원리 

     파플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를 적용한 유아의 학습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원리이다. 조건자극이 무조건 자극을 제시하기 전 조금 앞서서 주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 강도의 원리이다. 무조건 자극은 조건 자극보다 그 강도가 겅하거나 동일해야 한다. 셋째, 일관성의 원리는 조건자극은 일관된 자극물이어야 한다. 자극이 질적으로 같은 것일 때 효과적이다. 넷째, 계속성의 원리이다. 자극과 반응의 결합 관계가 반복되는 횟수가 많을수록 조건화가 잘 성립된다. 이러한 학습원리를 적용하여 유아 문제 행동 치료에도 쓰인다. 혐오치료 체계적 둔감법으로 아기들에게 모유를 끊게 하기 위해 어머니 젖에 쓴 맛이 나는 약을 발라 조건화를 소멸 시켜주는 것이다.

     

    왓슨의 연합주의 이론 

     파플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을 인간 정서조건형성에 적용한 사람은 왓슨이다. 왓슨의 행동주의 이론은 연합주의 이론으로 불린다. 인간의 행동은 자극과 자극의 결과인 반응 사이의 연합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행동 결정의 중요한 원인은 환경이 된다. 따라서 환경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인간은 공포, 분노, 애정의 세 가지 반응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이외의 것은 모두 학습에 의해 다양한 행동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손다이크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한 방향으로 도구적 조건형성이론을 주장하였다. 도구적 조건형성이란 어떤 행동이 학습될지의 여부는 그 행동의 결과가 무엇인지 의해 좌우된다고 하였다. 도구전 조건형성이론에도 3가지 법칙이 적용된다. 첫째, 연습의 법칙이다. 어떤 연결이 상황과 반응 사이에 생기면 그 연결의 강도는 다른 조건들이 그대로 있으면 더 커진다. 효과의 법칙이다. 상황과 반응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만족스러운 상태를 가져오면 그 연결은 강해지고 좋지 앟은 상태가 뒤따르면 그 강도는 줄어들게 된다. 준비의 법칙은 생리학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준비도에 따라 그 행동은 만족 또는 불만족의 경험을 갖게 되는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