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 심리발달 이론 - 인지 발달이론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4. 13. 00:00반응형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비교
유아의 인지 발달 과정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의 인지 발달 이론에 대한 대표학자로는 피아제와 비고츠키가 있다. 인지발달 이론이란 인간이 인지 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해가는 과정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피아제의 이론을 인지적 구성주의, 비고츠키의 이론을 사회적 구성주의라고 한다. 피아제와 비고츠키는 항상 비교를 받는데, 비고츠키는 피아제의 발달 이론에 과학을 합쳐 문화 심리학을 주장했다. 피아제는 유아 스스로가 동화와 조절을 통해서 자신의 인지능력을 발달시킨다고 보았지만 비고츠키는 유아가 주변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인지구조를 발달해나간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근접 발달지대라는 용어를 만들고 주장했다. 즉, 유아가 스스로 할 수 없는 일이라도 주변 사람들의 지원과 지지를 받아서 하면 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피아제가 말한 상위 발달 단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주변 사람들의 적절한 지원이 있다면 상위 단계의 과업도 이루어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발달해 간다는 피아제와 달리 비고츠키는 유아의 곁에서 교육하는 교육자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왜냐하면 유아마다 가지고 있는 근접발달지대를 교사가 파악하면 그 범위까지 유아의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표상 능력이 크게 발달하지 않은 유아의 경우 교육에 의해서 글자를 깨우치기도 하는 것이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1) - 감각운동기
피아제에 의하면 영아기부터 유아기까지 단계에 따라 자연스레 인지구조가 발달한다고 한다. 영아기부터 유아기까지 이어지는 인지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먼저 0~2세 감각운동기이다. 감각운동기는 태어난 직후부터 만 2세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 감각운동기의 유아는 대상영속성이 없어서 인형을 가리면 존재하지 않는 줄 알고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가린 것을 없애면 인형이 다시 생긴 줄 알고 신기해한다. 이 시기의 가장 큰 특성은 대상영속성을 획득하는 것이며 대상 영속성은 대상의 모습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을 말한다. 8개월쯤 되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주변에 존재함을 인지하게 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2) - 전조작기
만 2세~ 6세까지의 유아기를 전조작기라고 한다. 이 시기의 특징은 자기 중심성이다. 예를 들면, 어른에게 자기 집에 있는 장난감을 설명하면 그 장난감을 어른이 알 거라고 생각하고 말한다. 또한 자기가 좋아하는 초콜릿을 다른 어른도 당연히 좋아할 거라 생각한다. 또한 자기가 보이는 것은 다른 사람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자신이 책을 가리고 있어도 다른 어른도 책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유명한 이론 실험으로는 세 가지 모양의 산 실험이 유명하다. 세 개의 다른 모양의 산을 인형이 보게 한 후 인형의 입장에서 산의 모양을 설명할 때, 이 시기의 유아들은 자신의 입장에서 보이는 산을 설명한다. 즉 자기 중심성은 자신과 타인이 동일한 관점이나 생각 등을 갖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기 중심성과 더불어 물활론적 사고도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생명이 없는 물체들도 사람과 같이 살아 있으며 감정이 있다고 믿는다. 피아제에 의하면 물활론적 사고 또한 3가지 단계에 따라 발달해 간다고 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첫째는 주위의 모든 것에 생명이 있다는 것으로 불교의 사상과 비슷하다. 둘째는 움직이는 것에만 생명이 있다고 생각한다. 동물이나 자동차는 움직이므로 생명이 있으며, 책이나 연필 등의 물체는 움직이지 않아서 살아있지 않다고 말한다. 마지막 단계의 6~8세 유아들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것에만 생명이 있다고 보며, 인간이 움직이는 자동차는 생명이 없다는 것을 인지한다. 특이한 점은 바람이나 태양 또한 생명이 있다고 본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또한 역할 놀이를 주로 하기 시작하는데 표상 능력이 발달했음을 의미한다. 표상 능력이란 상징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에 따라 글자에 대해 인식하게 되며 발달이 빠른 아이들은 글자를 적고 능동적으로 쓸 수 있게 된다.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3) - 구체적 조작기
7살~ 11살의 시기는 유아기에 벗어나 아동기라고 일컬으며 구체적 조작기라고 일컫는다. 이 시기에는 전조작기의 특성인 자아 중심성을 점점 극복하게 되며 자신과 타인의 관점이나 생각, 가치, 느낌이 다르다고 인식하게 된다. 또한 보존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보존개념이란 대상의 모양이 바꿔도 양은 일정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보존개념이 발달하기 전에는 물을 모양이 다른 통에 담으면 양이 많아졌거나 작아졌다고 생각한다. 보존개념이 발달하게 되면 물을 폭이 좁은 통에서 넓은 통으로 옮겨도 양은 그대로라고 이해하게 된다. 11살~12 이후의 아동들은 형식적 조작기라고 한다. 추상적 사고와 더불어 과학적 사고를 하게 되며 이전의 유아 인지 발달상태에서 고차원적인 생각을 할 수 있게 된다.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시사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단순히 인지발달에는 단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아 스스로의 동화와 조절 그리고 그에 따른 도식의 변화 과정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발달은 유아 스스로 하는 거지 교사나 주변 어른에 의해 억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부분에서 비고츠키와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피아제는 원래는 생물학자였으며 철학적인 관점에서 생물학을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은 철학에 가까우며 본질적으로는 심리학과는 멀다. 인간은 타고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능력을 가지고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 도식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구조에 순서가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유아가 뜨거운 라면을 먹다가 불편함을 느꼈다면 다음부터 뜨거운 라면을 먹으면 안되겠다는 스키마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부모공부 > 어린이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발달심리 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 (3) (0) 2023.04.20 유아 심리발달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 (2) (0) 2023.04.14 유아 심리발달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 (0) 2023.04.14 유아 심리발달 이론 -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이론 (0) 2023.04.13 유아 심리발달이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심리학 (0)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