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심리
-
불안한 아이 걱정이 많은 아이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6. 19. 20:13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오늘은 걱정이 많은 우리 아이들을 위해 도와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엄마의 고민] 우리 하린이가 새 학기 되고 나서부터 밤마다 기분이 안 좋았던 일을 떠올리며 울어요. 처음에는 놀래서 그저 달래주고 했는데, 이제는 정말 사소한 것까지 다 이야기하면서 우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우리 아이들은 어두운 공간, 새 학년, 새로운 도전 등 바뀌는 것을 두려워하고 불안해 합니다. 대부분은 불안함을 느껴도 아무렇지 않은 듯 앞으로 나아갈 수 있지만 불안감을 이겨내기 어려운 만큼 자주 느낀 아이들은 조금씩 마음이 쇠약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심각한 불안감을 가진 아이들은 먹거나, 잠을 자거나 학교에 가는 일상적인 ..
-
친구를 지나치게 배려해요. (사회성 3편)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5. 16. 19:57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들의 자존감을 키워주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오늘은 친구를 너무 배려하고, 자신의 생각을 당당하게 말하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도와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A 부모님 우리 아이는 어릴 때부터 친구와 싸우지도 않고 남을 항상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는 아이였어요. 그래서 선생님들께 칭찬도 많이 받았답니다. 그런데 요즘은 아이가 친구에게 상처 받아도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혼자만 끙끙 앓는 것 같아 걱정이예요. 어떻게 하면 남을 배려하면서 자기 자신도 지킬 줄 아는 사람이 되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착한 어린이? "착하네~"와 같은 말은 어릴때부터 자주 듣곤합니다. 어른들도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착하다고" 칭찬해주기 일쑤이지요. 착하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마음씨가..
-
아이의 자존감 키우는 방법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5. 10. 20:09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들의 자존감을 지키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하버드 대학교 학생들이 어린시절 부모로부터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무엇일까요? 바로 "Everything is going to be OK(다 괜찮을거야.)"라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 학생들은 학창시절 시험을 망치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입어도 다시 일어서서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다고 합니다. 어린시절 부모가 어떤 말을 하고, 어떤 태도로 아이를 대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자존감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오늘은 아이의 '자존감'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할게요. 한번 굳어진 자아상은 바꾸기가 매우 어려습니다. 그래서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커서도 자존감이 낮은 어른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내 아이가 어른이 되서 성공하고 행..
-
무엇이든 1등해야만 하는 아이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5. 9. 00:21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들의 자존감을 가꾸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뭐든 잘하려고 노력하는 우리 아이. 처음에는 그런 모습이 '아이라서 그럴 수 있지' 하고 이해하고, 그저 열정이 많은 아이로 생각했는데, 간혹 조금만 마음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는 부모님들 계시지요? 오늘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고 잘해야만 하는 아이의 심리와 해결책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일곱 살인 아영이는 무엇이든 잘하려고 노력하는 아이입니다. 유치원에서도 늘 제일 먼저 손을 들고 발표하고, 미술활동도 제일 먼저 끝낸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엄마는 아영이가 스스로 무엇이든 잘하는 아이였기에 큰 걱정이 없었답니다. 하지만 어느 날 유치원 선생님과의 상담에서 선생님은 아이가 활동에 몰입하기보다는 지나치게 잘하려고 하고, 선생..
-
책 읽기를 싫어하는 우리 아이부모공부/어린이 한글교육 2023. 5. 6. 19:37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의 자존감을 가꾸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어려서부터 아이의 책 읽는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서 여러 전집과 새로운 책들을 구입하는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아이들이 책을 잘 읽고 좋아하면 정말 다행이지만, 아이가 책을 좋아하지 않아 소품으로 전략해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책 읽는 것을 싫어하는 우리 아이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모든 행동에는 원인이 있는데요. 우리 아이가 왜 책을 싫어하는지 먼저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첫째, 부모의 과도한 교육적 목적으로 책을 읽어 줄 경우 아직 아이가 어려서 글자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무리하게 책을 주입하여 책을 싫어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큰 문제가 없는 아이들의 경우 자신의 수준과 관심사와 맞는 책을 읽어주..
-
아이가 손톱을 물어 뜯는 이유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5. 5. 22:24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의 자존감을 가꾸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을 만나다보면, 아이의 특정 증상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손톱 물어 뜯기, 손 빨기, 틱 증상과 같이 병원에 데리고 가기에 망설여지고, 그대로 두기에도 고민이 되는 행동들인데요. 오늘은 그런 행동들을 없앨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아이가 손톱을 물어 뜯거나 손을 빨면 바로 하지 말라고 말리는 부모님들이 많은데요. 그런데 말릴 때 잠시 멈추었다가 또 어느새 다시 손톱을 물어 뜯거나 손을 빨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셨을 거예요. 아이에게 여러번 이야기 했는데도 행동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느다면 아이의 의도와 달리 통제할 수 없는 다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아이 나름대..
-
우리 아이 혹시 ADHD 인가요? (ADHD 판별 기준)산만한 아이 도와주세요!부모공부/어린이 심리 2023. 5. 2. 20:57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들의 자존감을 가꾸는 '희망의 정원사' 입니다. 집중력이 짧은 우리 어린아이들의 특징으로 인해 한번쯤은 '아이가 산만한데 혹시 우리 아이가 ADHD가 아닐까?' 문득 생각해보신 적이 있으실거예요. ADHD의 정확한 진단은 의사가 해야하지만 가정과 유치원에서의 관찰을 통해 아이의 어려움을 빨리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오늘은 유아기 ADHD 판별기준과 더불어 산만한 우리 아이들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요즈음 ADHD는 전체 어린이 중 5~10 %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될 정도로 흔합니다. 즉, 한 학급에 2명 이상의 어린이가 ADHD인 셈입니다. ADHD는 주로 앞쪽 뇌인 전두엽에서 집중력과 자기통제 기능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