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아이 한글 교육 - 쓰기편 (유아용)부모공부/어린이 한글교육 2023. 5. 7. 12:29반응형
안녕하세요. 희망의 말로 아이들의 자존감을 지켜주는 '희망의 정원사'입니다. 아이가 학교에 들어 가기 전 가장 고민하게 되는 것이 한글입니다. 한글을 깨우치기 시작하면 한글쓰기도 어느정도 되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우리 아이 쓰기 교육 ! 언제, 어떤 방법으로 하면 좋을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떤 교육이든 효과를 거두려면 아이의 발달 과정에 맞추어 진행해야 합니다. 지난 글에서 한글을 배우는 시기는 6세 이후부터 하는 것이 적절한 시기라고 알려드렸는데요. 아이의 사고력이 충분히 자랐을 때 한글을 쉽게 배울 수 있기 때문이지요. 너무 어릴 때 부터 한글 공부를 시키면 아이가 꼭 배워야 할 부분을 놓쳐버려요. 아이가 충분히 준비되면 짧은 시간안에 효율적으로 한글을 깨우칠 수 있답니다.
쓰기 교육 언제부터 해야 할까요?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가 한글을 어느 정도 읽게 되니 이번에는 쓰기 공부에도 관심이 갑니다. 하지만 쓰기는 읽기와 구별되는 또 다른 능력이 필요해요. 연필을 손에 집고 움직이는 손과 눈의 협응력과, 소근육 운동 능력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언어 발달은 읽기 다음으로 쓰기가 이루어집니다. 읽기와 쓰기는 동시에 발달된다는 이론도 있지만 어느정도 읽기가 이루어진 후부터 쓰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기 마련입니다. 이제 막 읽기를 시작한 아이에게 쓰기 연습을 무작정 시키면 아이가 오히려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거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발달 특성 상 제 나이에 맞게 발달하고 있다 하더라도, 아이마다 개별차가 있기 마련이므로 혹시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하고 전전긍긍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가 쓰기를 할 수 있는 시기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대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을 때가 적정한 때라 봅니다. 글자를 쓰는 것은 연필로 그냥 그림을 그리는 것과는 다릅니다. 젓가락으로 작은 콩을 집는 등의 미세 운동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연필을 잡고 쓸 수 있는 상태라 보면 됩니다. 특히, 연필을 쥘때 다른 손가락도 움직이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런 아이들의 경우 조금 더 기다렸다가 교육할 피료악 있습니다.
쓰기 공부 어떻게 알려주어야 할가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무엇이든 놀이처럼 배워야 합니다. 쓰기를 가리친다고 학습지를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이의 발달 특성에 맞지 않는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글자의 조합, 단어의 의미를 모른채 무의미한 반복 쓰기는 아이에게 그림을 보고 따라그리는 훈련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대신 일상생활에서 쓰기가 필요한 상황에서 직접 쓰고 글자의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읽기와 같이 아이가 한글을 익힐 때는 가장 먼저 글자 자체를 통으로 외웁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좋아하는 글자가 간판에 적힌 경우, 이것을 읽어보며 한글을 깨우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아이들은 자신의 흥미에 맞게 자연스럽게 쓰기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해요.
놀이처럼 쓰기 배우기
1. 아이가 원하는 것을 쓰게 하세요.
아이가 놀이를 하다 보면 "이것은 ~야"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아이를 대신해서 글자를 적어서 붙여놓기도 하고, 아이에게 직접 적어보라고 하면 아이가 글자 쓰는 데 흥미를 보이게 됩니다.
2.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해서 글자 쓰기
꼭 연필로만 글자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싸인펜, 색연필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미술 도구로 직접 적어보게 해주세요. 그리고 종이 위에가 아니라도 모래 위에서도 글자를 써보게 도와주세요. 아이들에게 글자가 재밌는 놀잇감이 될 수 있습니다.
3. 편지 쓰기
여자 아이들의 경우 편지쓰기를 즐기고 좋아하는데요. 아이에게 의도적으로 편지를 쓰게 하기보다는 엄마가 자주 짧은 카드편지를 적어주세요. "사랑해","고마워"등의 짧은 말로 편지를 써주면 우리 아이들도 편지에 대해 놀이처럼 느끼게 되고, 편지 쓰기를 시작할 수 있어요.
'부모공부 > 어린이 한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마음대로만 하려는 아이 (사회성 2편) (0) 2023.05.15 6세,7세 그림책 작가 추천 (한글 교육) (0) 2023.05.09 책 읽기를 싫어하는 우리 아이 (0) 2023.05.06 유아용 그림책 찾을 때 알아두면 좋은 그림책대회 (0) 2023.05.04 말이 늦는 우리 아이, 언어발달의 중요성 (0) 2023.05.03